기업사회공헌연구소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Research Institute

기업비평

지구온난화 심각, 국내 기업 이산화탄소 수천만톤 배출

촌객 2025. 5. 12. 15:16
728x90
반응형


지구 온난화는 지구의 평균 기온이 올라가는 현상이며, 공기 중에 늘어나는 온실가스가 유리온실처럼 작용하여 지구 표면의 온도를 높이기 때문에 나타난다. 이러한 온실가스에는 이산화 탄소, 메테인, 프레온, 오존, 일산화 이질소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지구 온난화의 가장 큰 원인은 화석 연료를 사용할 때에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산화 탄소의 발생량을 줄여야 한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해수면이 높아져 해안 지역이 물에 잠기고, 매우 많은 양의 토지가 손실되며, 기후 변화가 일어나 집중 호우로 인한 홍수나 가뭄, 산불, 한파 등과 같은 자연재해가 일어나기도 한다. 한편, 지구온난화로 얼었던 극지방 땅이 녹으면서 그 안에 묻혀 있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증가하고 있다는 연구결과도 나왔다.
 
산림청에 따르면 나무한그루는 연간 이산화탄소 2.5톤과 미세먼지 35.7g을 흡수하고 산소 1.8톤을 배출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사람은 호흡만으로 1인당 연간 58.6Kg의 탄소를 배출하며, 우리나라 인구 5,178만명을 계산하면 연간 3,034,308톤에 이른다.산림이 흡수할 수 있는 온실가스의 양은 전체 배출량의 약 6%에 불과하다. 산림면적이 국토의 63%를 차지하는 우리나라에서 전체 탄소배출량을 상쇄하기 위해서는 현재보다 16배 많은 나무가 필요하다고 한다.
 
기업 사회공헌으로 자원봉사로 나무만 심어서 될일이 아니다.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 저감 노력이 우선되어야 하며 탄소 포집 및 활용 기술 확대, 탄소 배출권 거래제 확대와 산림순환경영 그리고 시민들의 일상속의 온실가스 절감 노력(대중교통 이용 등) 등이 함께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 주요 기업 온실가스(이산화탄소) 연간 배출량(Scop1+Scop2)

(출처 : 각사 지속가능보고서/단위:tCO2eq)

구분202320222021
POSCO     80,670,542     78,597,749     86,839,473
현대제철     29,162,000     29,268,000     29,266,000
삼성전자     13,291,000     15,053,000     17,400,000
대한항공     11,898,640      8,674,458      7,545,318
SK 이노베이션     11,654,889     11,143,010     11,210,482
쌍용C&E     10,740,000     10,671,000     10,611,000
S-OIL      9,698,000      9,710,000     10,036,000
LG화학      9,558,199     10,035,577     10,335,203
GS칼텍스      9,153,789      9,061,632      8,456,147
SK하이닉스      7,324,980      9,082,634      7,842,929
 HD현대오일뱅크      6,388,610      6,826,864      7,510,616
롯데케미칼      6,056,066      6,214,646      6,559,675
한일시멘트      4,370,690      4,359,627      4,277,252
한일현대시멘트      2,903,539      3,688,223      3,820,963
현대자동차      2,275,751      2,404,069      2,384,071
기아자동차      1,130,900      1,166,900      1,139,100
HD현대중공업그룹      1,076,487         958,562         948,627
LG전자         923,000      1,053,000      1,151,963
효성화학         867,346         892,064         887,235
네이버          89,505          86,991          78,884
카카오          53,784          67,391          85,320

 
 
[온실가스 100만톤클럽 시즌2] 기후악당들은 정말 달라졌을까?
"탄소배출권거래제의 역설" 독성물질 배출은 오히려 늘었다
3월 대형 산불로 온실가스 배출량 760만t 넘어
[기획 특집]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현황과 '2050 탄소중립' 가
SKT 해킹 사태가 낳을 온실가스가…충격적인 전망
기후 위기의 늪에 빠진 지구

산림의 ‘두 얼굴’… 든든한 탄소 흡수원, 재난 땐 탄소 배출원 ‘돌
위대한 발명품 플라스틱, 지구를 늪에 빠뜨리다
온실가스 배출 기업이 기후재난 피해 보상할 날 온다
“제조업 모두 타격”…배출권거래제 확대에 철강업계 ‘사면초가’
기후악당 책임 따질 새 셈법 “111개 기업이 28조달러 피해 유발”
국내 금융기관 온실가스 배출량 전체 15%…"지속가능금융 전략
EU, 2040년까지 온실가스 90% 감축 놓고 이견… "에너지전환 비
기후 악당 국가에서 벗어나려면
"사우디 아람코 등 36개 기업, 전 세계 온실가스 절반 배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