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사회공헌연구소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Research Institute

반응형

기업 사회공헌/기업 사회공헌의 이해 15

지역사회공헌 인정제 - 심사 지표 평가 및 제언

지역사회공헌 인정제 2023년 평가 심사 지표를 기준으로 각 항목별 기업에서 해야 할 대응 방안들을 기 설명한 바 있다. 기업마다 상황이 다르고 지표에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도 많기 때문에 대기업 기준 인정기준인 200점 만점에 120점 이상 받을 수 있도록 각 회사별 상황을 고려하여 지표 별 획득 가능 점수를 점검해 보아야 한다. 지역사회공헌 인정제 심사 지표가 기업 현장의 담당자로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어 다음과 같이 수년간 인정제에 참여해왔고 기업 현장에서 실무 업무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로서 지표 구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추진체계(추진전략, 추진조직, 직원교육, 의사결정)○추진전략에서는 회사 KPI에 사회공헌 관련 성과를 넣고, 사회공헌 관련 미션과 비전, 슬로건 등을 만들..

지역사회공헌인정제-심사 지표 대응 전략-4

지역사회공헌인정제 심사는 3개 영역(E/S/G)에서 25개 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환경(E)과 투명경영(G)을 제외한 사회적책임(S-Social) 영역에 한해 5년간 인정제에 참여한 인증 기업담당자로서 제안하고자 한다. 지표별 대응전략은 가장 쉬운 인식수준부터 성과 수준까지 매 수준별 누적된 활동들이 병행적으로 이루어 져야하며, 개별 시행 수준에 따라 유형별 점수가 차등 배점된다. 이에 유형1(대기업) 기준에서 각 지표 수준별 대응 전략을 세부적으로 제시하고자 하며, 각각의 실천 상황에 따른 증빙(보고서, 결재문서, 홈페이지 캡쳐 등)을 심사에 제출하여 인정받으면 된다. ■ 사회공헌 네트워크(4/1~5)  ○ S-4-1(지역주민) (10점)지역주민과 수행한 상생협력 활동이 있습니까?  ▲ (2점..

지역사회공헌인정제-심사 지표 대응 전략-3

지역사회공헌인정제 심사는 3개 영역(E/S/G)에서 25개 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환경(E)과 투명경영(G)을 제외한 사회적책임(S-Social) 영역에 한해 5년간 인정제에 참여한 인증 기업담당자로서 제안하고자 한다. 지표별 대응전략은 가장 쉬운 인식수준부터 성과 수준까지 매 수준별 누적된 활동들이 병행적으로 이루어 져야하며, 개별 시행 수준에 따라 유형별 점수가 차등 배점된다. 이에 유형1(대기업) 기준에서 각 지표 수준별 대응 전략을 세부적으로 제시하고자 하며, 각각의 실천 상황에 따른 증빙(보고서, 결재문서, 홈페이지 캡쳐 등)을 심사에 제출하여 인정받으면 된다. ■ 사회공헌 프로그램(3/1~5)  ○ S-3-1(자원투입) (10점)사회공헌 프로그램에 자원을 투입하고 있습니까?  ▲ (2..

지역사회공헌인정제-심사 지표 대응 전략-2

지역사회공헌인정제 심사는 3개 영역(E/S/G)에서 25개 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환경(E)과 투명경영(G)을 제외한 사회적책임(S-Social) 영역에 한해 5년간 인정제에 참여한 인증 기업담당자로서 제안하고자 한다. 지표별 대응전략은 가장 쉬운 인식수준부터 성과 수준까지 매 수준별 누적된 활동들이 병행적으로 이루어 져야하며, 개별 시행 수준에 따라 유형별 점수가 차등 배점된다. 이에 유형1(대기업) 기준에서 각 지표 수준별 대응 전략을 세부적으로 제시하고자 하며, 각각의 실천 상황에 따른 증빙(보고서, 결재문서, 홈페이지 캡쳐 등)을 심사에 제출하여 인정받으면 된다. ■ 문제인식(2/1~3)  ○ S-2-1(문제확인) (10점)지역사회 문제 확인을 위해 이해관계자와 협력하고 있습니까?  ▲ ..

지역사회공헌인정제-심사 지표 대응 전략-1

지역사회공헌인정제 심사는 3개 영역(E/S/G)에서 25개 지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환경(E)과 투명경영(G)을 제외한 사회적책임(S-Social) 영역에 한해 5년간 인정제에 참여한 인증 기업담당자로서 제안하고자 한다. 지표별 대응전략은 가장 쉬운 인식수준부터 성과 수준까지 매 수준별 누적된 활동들이 병행적으로 이루어 져야하며, 개별 시행 수준에 따라 유형별 점수가 차등 배점된다. 이에 유형1(대기업) 기준에서 각 지표 수준별 대응 전략을 세부적으로 제시하고자 하며, 각각의 실천 상황에 따른 증빙(보고서, 결재문서, 홈페이지 캡쳐 등)을 심사에 제출하여 인정받으면 된다.  ■ 추진체계(1/1~4) ○ S-1-1(추진전략) (5점)사회공헌 추진전략이 수립되어 있습니까?   ▲ (1점) 수시 또는 ..

기업 사회공헌, 지역사회공헌인정제의 이해

2000년대 중반부터 기업 사회공헌이 활성화 되면서 기업에서는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외부의 인정 욕구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이에 대해 기업 자체 홍보 성과나 외부 표창 등을 통해 인정받아 왔다. 또한 기업 자체적으로 평가 기준을 마련하여 운영하는 곳도 있다. 하지만 20여년가까이 기업들이 사회에 많은 기여를 해옴에도 불구하고 기업 사회공헌 분야에 대한 공식적이고 체계적인 평가 기준이 없어 기업 사회공헌의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에 “지역사회공헌인정제”는 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의 사회복지 분야에 대해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해주는 제도로서 기업 사회공헌 담당자들은 관련 내용을 숙지하고 인정제에 참여하면 좋을 것이다. 이를 통해 개별 기업의 사회공헌 체계도 되돌아보고 지역사회와 협력 관계을 통한..

워라밸과 코로나로 침체된 기업 자원봉사, ESG로 심폐소생?

1990년대 후반 기업복지재단 주관의 기업 자원봉사 활동들이 시작되었으며, 2000년대 기업 사회공헌팀의 조직과 더불어 기업 임직원 자원봉사 활동이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인력 구성이 많은 서비스업종 기업들은 엄청난 참여 인원과 시간, 횟수를 지속가능보고서 등을 통해 그리고 언론 홍보를 통해 노출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움직임 속에100% 전직원 봉사 참여를 달성하는 기업들도 많아졌었다. 그러나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으로 휴일 봉사 운영이 어렵게 되면서 기업 자원봉사 활동이 위축되기 시작했다. 이후 코로나로 3년의 시간을 보내면서 간간히 비대면 봉사도 진행되었지만 기업 자원봉사 활동은 거의 유명무실해지는 위기에 처할 수밖에 없었다. 이후 ESG 경영확산에 따른 지역사회공헌 성과의 정량적 데이터가 요구되면서..

CSR 취약 계층 우선, ESG로 환경 관련 후원 확대 불가피

젼경련 주요 기업의 사회적 가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여년간(2004년~2022년) 기업 사회공헌 분야별 지출 비율 순위는 아래와 같이 나타났다. ①취약계층 지원(36.6%) ②교육/학교/학술(20.6%) ③문화예술 및 체육(12.5%) ④기타(재해/창업/지역경제 등)(22.3%) ⑤해외지원(3.0%) ⑥의료보건(3.0%) ⑦환경보전(1.9%) 기업 사회공헌 지출 분야 중 취약계층 지원은 평균 36.6%로 지난 20여년간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2021년에는 55.9%로 역대 최대 규모로 전체 지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었다. 취약계층 지원은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기업들이 전통적으로 가장 많은 사회적 투자를 해 온 영역으로 최근에는 수혜 대상자별 지원 내용이 다양화하고 세분화되어 가..

기업 사회공헌 3조원 기부 시대

1990년대 기업은 복지재단을 만들어 사회복지 분야에 기여하였다. 당시 20여개 복지재단들이 있었으며, 이후 2000년대 초반 기업 사회공헌 부서가 만들어져 활동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기업 윤리경영 측면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으며, 이후 윤리경영, 환경경영, 사회공헌으로 분류되면서 2000년대 중반부터는 사회공헌(CSR)이란 이름으로 기업들의 사회적 책임 이행이 확대되기 시작했다.   ※ 전경련 사회적가치 보고서 톺아보기   전경련 보고서에 따르면 1998년 147개 기업이 조사에 응답하여 3,327억원을 기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0년에는 응답 기업이 확대되어 193개 기업이 7,060억원을 기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부금액이 두배 이상 늘어나기 시작했다. 이후 ..

그린워싱(Green Washing)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경영의 확산으로 기업들이 기후 위기 대응, 탄소 중립 등 환경문제에 더욱 민감하게 대응하게 되면서 홍보, 마케팅, 그리고 사회공헌 활동을 통한 자사의 친환경 이미지를 소비자들에게 그리고 주주들에게 알리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다.  기업들의 환경문제에 대응은 산업과 무역 그리고 금융거래에 까지 영향을 미칠 정도로 기업 경영 활동에 큰 이슈가 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일부 기업들의 친환경적 활동들이 실제로는 오히려 환경문제를 야기하고 있거나 잘못된 정보를 홍보하여 소비자들이 친환경 제품과 기업으로 잘못 이해하도록 만들기도 한다. 이러한 기업의 실태를 그린워싱(Greenwashing)이란 표현으로 지적하며 국제적으로 다양한 기준과 제재가 이어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