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다문화장학재단-경력직 채용 기업 사회공헌 업무 분야로 취업하기는 쉽지 않다. 자리도 많지 않고 정규직이 아닌 계약직인 경우가 많다. 기존 직원들이 사회공헌 업무를 담당하는 경우가 많아 사회복지사를 채용하는 경우가 적다. 또한 채용 경우에도 사회공헌이나 기업과 연관된 업무 경력자를 우선한다. 따라서 최대한 많은 경험을 쌓을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이에 기업 사회공헌 관련 분야 채용 사례를 엄선해서 공유하고자 한다. 기업 사회공헌/기업 사회공헌 취업 정보 2024.03.12
태평양물산 - ESG CSR 경력자 채용 기업 사회공헌 업무 분야로 취업하기는 쉽지 않다. 자리도 많지 않고 정규직이 아닌 계약직인 경우가 많다. 기존 직원들이 사회공헌 업무를 담당하는 경우가 많아 사회복지사를 채용하는 경우가 적다. 또한 채용 경우에도 사회공헌이나 기업과 연관된 업무 경력자를 우선한다. 따라서 최대한 많은 경험을 쌓을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이에 기업 사회공헌 분야 채용 사례를 엄선해서 공유하고자 한다. 기업 사회공헌/기업 사회공헌 취업 정보 2024.03.11
전국 사회복지학과(전공) 개설 현황 - 대학원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방법 중 하나로 학부에서 전공하지 않은 경우 대학원에서 사회복지 관련 교과목을 이수하면 사회복지사 자격증 2급을 취득할 수 있다. 이후 사회복지사 국가시험에 합격해야 1급을 취득할 수 있다. 전국 대학 알리미(https://www.academyinfo.go.kr) 에 따르면, 주간 및 야간을 포함하여 전국 180개 대학원에 사회복지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No 학과 대학명 학교 종류 학과 지역 지역 (시군구) 주야 구분 학교 지역 설립 유형 1 사회복지학과 가천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대학원 경기 성남시 야간 경기 사립 2 사회복지학과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대학원 경기 성남시 주간 경기 사립 3 사회복지학과 가톨릭관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대학원 강원 강릉시 야간 강.. 사회복지/사회복지사 2024.03.11
전국 사회복지학과(전공) 개설 현황 - 대학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방법 중 하나로 대학에서 사회복지학을 전공하고 관련교과목을 이수하면 사회복지사 자격증 2급을 취득할 수 있다. 이후 사회복지사 국가시험에 합격해야 1급을 취득 할 수 있다. 전국 대학 알리미(https://www.academyinfo.go.kr) 에 따르면, 전국 104개 대학에 사회복지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No 대학명 학교종류 학과지역 학과지역(시군구) 주야구분 학교지역 설립유형 학과특성 1 가천대학교 대학 경기 성남시 주간 경기 사립 일반과정 2 가톨릭대학교 대학 경기 부천시 주간 경기 사립 일반과정 3 강서대학교 대학 서울 강서구 야간 서울 사립 계약학과 4 강서대학교 대학 서울 강서구 주간 서울 사립 일반과정 5 강원대학교(제2캠퍼스) 대학 강원 삼척.. 사회복지/사회복지사 2024.03.11
전국 사회복지학과(전공) 개설 현황 - 전문대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방법 중 하나로 전문대학에서 사회복지학을 전공하고 관련교과목을 이수하면 사회복지사 자격증 2급을 취득할 수 있다. 이후 사회복지 관련 기관에서 1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어야 1급 국가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전국 대학 알리미(https://www.academyinfo.go.kr) 에 따르면, 전국 81개 전문대학에 사회복지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No 대학명 학교종류 학과지역 학과지역 (시군구) 주야 구분 설립유형 학과특성 1 가톨릭상지대학교 전문대학 경북 안동시 야간 사립 학사학위전공심화(경력없음) 2 강동대학교 전문대학 충북 음성군 야간 사립 학사학위전공심화(경력없음) 3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전문대학 경기 시흥시 야간 사립 산업체위탁 4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전.. 사회복지/사회복지사 2024.03.11
주요 대학 사회복지대학원(석사-야간) 현황 - 4 사회복지사로서 현장에 근무하면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거나 비 전공자가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방법의 하나로 사회복지대학원(야간)을 진하는 경우가 많다. 학부가 설치되어 있는 주요 대학들은 대부분 직장인을 위한 야간 대학원 과정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인의 진학 목적, 근무 분야, 전공분야 등을 고려하고 대학원 교수들의 전공 분야를 고려하여 대학원을 선택해야 한다. ※ 서울지역 주요 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개설 현황(2024년 기준) 학교명 서강대학교 한양대학교 성결대학교 강남대학교 대학원명 공공정책대학원(야간) 공공정책대학원(야간) 사회복지대학원(야간) 융복합대학원(야간) 원서접수 10월 (https://www.jinhakapply.com) 12월 (https://www.jinhakapply.co.. 사회복지/사회복지사 2024.03.11
주요 대학 사회복지대학원(석사-야간) 현황 - 3 사회복지사로서 현장에 근무하면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거나 비 전공자가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방법의 하나로 사회복지대학원(야간)을 진하는 경우가 많다. 학부가 설치되어 있는 주요 대학들은 대부분 직장인을 위한 야간 대학원 과정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인의 진학 목적, 근무 분야, 전공분야 등을 고려하고 대학원 교수들의 전공 분야를 고려하여 대학원을 선택해야 한다. ※ 서울지역 주요 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개설 현황(2024년 기준) 학교명 서울시립대학교 가톨릭대학교 명지대학교 대학원명 도시사회복지대학원(야간) 사회복지대학원(야간) 사회복지대학원(야간) 원서접수 10월 (https://www.jinhakapply.com) 12월 (http://uwayapply.com) 11월 (https://www.. 사회복지/사회복지사 2024.03.07
주요 대학 사회복지대학원(석사-야간) 현황 - 2 사회복지사로서 현장에 근무하면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거나 비 전공자가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방법의 하나로 사회복지대학원(야간)을 진하는 경우가 많다. 학부가 설치되어 있는 주요 대학들은 대부분 직장인을 위한 야간 대학원 과정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인의 진학 목적, 근무 분야, 전공분야 등을 고려하고 대학원 교수들의 전공 분야를 고려하여 대학원을 선택해야 한다. ※ 서울지역 주요 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개설 현황(2024년 기준) 학교명 이화여자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숭실대학교 대학원명 사회복지대학원(야간) 휴먼서비스대학원(야간) 사회복지대학원(야간) 원서접수 10월 10월(https://www.jinhakapply.com) 10월 면접전형 11월 12월 11월 합격자발표 11월 12월 11월 모.. 사회복지/사회복지사 2024.03.07
주요 대학 사회복지대학원(석사-야간) 현황 - 1 사회복지사로서 현장에 근무하면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거나 비 전공자가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방법의 하나로 사회복지대학원(야간)을 진하는 경우가 많다. 학부가 설치되어 있는 주요 대학들은 대부분 직장인을 위한 야간 대학원 과정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인의 진학 목적, 근무 분야, 전공분야 등을 고려하고 대학원 교수들의 전공 분야를 고려하여 대학원을 선택해야 한다. ※ 서울지역 주요 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개설 현황(2024년 기준) 학교명 연세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중앙대학교 대학원명 행정대학원(야간) (특수대학원)사회복지대학원(야간) 사회복지대학원(야간) 원서접수 10월 (https://gspa.yonsei.ac.kr) 10월 (http://uwayapply.com) 10월 (http://uwaya.. 사회복지/사회복지사 2024.03.07
2023년도 아동복지시설 현황 아동복지시설이란 아동의 안전과 건강, 복지 증진을 위하여 아동복지법 제50조의 규정에 의해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설치하거나,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외의 자가 관할 시장 · 군수 · 구청장에게 신고하고 설치한 시설을 말한다. 아동복지시설은 아동양육시설(245개소, 9,439명), 아동보호치료시설(12개, 435명), 자립지원시설(15개, 215명), 아동일시보호시설(17개, 223명), 아동상담소(10개), 아동전용 시설(7개)로 구분된다. 1. 아동양육시설 도움이 필요한 아동 중 입양, 대리양육, 가정위탁 및 소년소녀가정 지원 등 가정보호를 할 수 없는 아동을 시설에 입소시켜 생활하고 보호하는 시설이다. 2. 아동보호치료시설 아동복지법 제15조제1항제5호에 의거 약물 및 알콜 중독, 정서ㆍ행동ㆍ발달.. 사회복지/사회복지정보(법률, 지침 등) 2024.0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