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사회공헌연구소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Research Institute

기업 사회공헌 163

기업 사회공헌, 지역사회공헌인정제의 이해

2000년대 중반부터 기업 사회공헌이 활성화 되면서 기업에서는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외부의 인정 욕구가 강하게 나타났으며 이에 대해 기업 자체 홍보 성과나 외부 표창 등을 통해 인정받아 왔다. 또한 기업 자체적으로 평가 기준을 마련하여 운영하는 곳도 있다. 하지만 20여년가까이 기업들이 사회에 많은 기여를 해옴에도 불구하고 기업 사회공헌 분야에 대한 공식적이고 체계적인 평가 기준이 없어 기업 사회공헌의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에 “지역사회공헌인정제”는 우리나라 기업 사회공헌의 사회복지 분야에 대해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해주는 제도로서 기업 사회공헌 담당자들은 관련 내용을 숙지하고 인정제에 참여하면 좋을 것이다. 이를 통해 개별 기업의 사회공헌 체계도 되돌아보고 지역사회와 협력 관계을 통한..

교보교육재단-사회공헌 담당 채용

기업 사회공헌 업무 분야로 취업하기는 쉽지 않다. 자리도 많지 않고 정규직이 아닌 계약직인 경우가 많다. 기존 직원들이 사회공헌 업무를 담당하는 경우가 많아 사회복지사를 채용하는 경우가 적다. 또한 채용 경우에도 사회공헌이나 기업과 연관된 업무 경력자를 우선한다. 따라서 최대한 많은 경험을 쌓을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이에 기업 사회공헌 분야 채용 사례를 엄선해서 공유하고자 한다.

사회공헌 기업 분석(14) - 우아한형제들(배달의민족)

최근 ESG 경영이 확산되면서 가장 쉽고 빠르게 시행할 수 있고 홍보 효과가 높은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과 실천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 주변의 다양한 기업들이 어떻게 사회공헌 활동을 진행하고 있는지 홈페이지, ESG보고서, 언론보도, 공시 자료 등을 검토하고 정리하여 공유하고자 한다.  1. 회사 개요 ○ 기업명 : ㈜우아한형제들○ 대표자 :이국환○ 기업구분 : 중견기업○ 업 종 :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제품/사업 : 소프트웨어 개발,공급○ 설립일 : 2011. 3. 10.○ 매출액 : 3조 4,134억 7,925만 (2023.12.IFRS 개별)○ 종업원 : 2,010명 (2023. 12.)○ 본 사 :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 2 (우)05544○ 평균연봉 : 6,000만..

애경케미칼-사회공헌 담당 채용

기업 사회공헌 업무 분야로 취업하기는 쉽지 않다. 자리도 많지 않고 정규직이 아닌 계약직인 경우가 많다. 기존 직원들이 사회공헌 업무를 담당하는 경우가 많아 사회복지사를 채용하는 경우가 적다. 또한 채용 경우에도 사회공헌이나 기업과 연관된 업무 경력자를 우선한다. 따라서 최대한 많은 경험을 쌓을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이에 기업 사회공헌 분야 채용 사례를 엄선해서 공유하고자 한다.

기업 사회공헌 활동 - 2024년 5월 CSR 동향

기업 사회공헌(CSR) 동향은 기업들의 다양한 사회공헌 프로그램들이 어떻게 시행되고 있는지 언론 보도 자료를 통해 공유하고자 정리하고 있습니다. 단순 홍보성 기획 기사가 아닌 프로그램 시행을 위한 기부 관련 보도 내용을 스크랩하여 공유하고자 합니다. 사회공헌 신규 프로그램 개발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대표적 사회공헌 사업 '하늘반창고 키즈' 시작  코오롱, 집중 봉사주간…전국 임직원 500여명 참여 사회공헌'민관 협력형 사회공헌' 한전KPS, 나주경찰에 CCTV 설치 지원신보, 대구서 도시락 전달 등 사회공헌활동 실시한전, '찾아가는 청춘사진관' 사회공헌활동쿠팡, 난치병 환아 가족들 응원하는 사회공헌활동 펼쳐현대지에프홀딩스 사회공헌 앞장…가치만드소에 후원금 1억원 중부발전, 지역사회 ..

CJ올리브영-CSR담당 채용

기업 사회공헌 업무 분야로 취업하기는 쉽지 않다. 자리도 많지 않고 정규직이 아닌 계약직인 경우가 많다. 기존 직원들이 사회공헌 업무를 담당하는 경우가 많아 사회복지사를 채용하는 경우가 적다. 또한 채용 경우에도 사회공헌이나 기업과 연관된 업무 경력자를 우선한다. 따라서 최대한 많은 경험을 쌓을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이에 기업 사회공헌 분야 채용 사례를 엄선해서 공유하고자 한다.

카카오게임즈-CSR담당 채용

기업 사회공헌 업무 분야로 취업하기는 쉽지 않다. 자리도 많지 않고 정규직이 아닌 계약직인 경우가 많다. 기존 직원들이 사회공헌 업무를 담당하는 경우가 많아 사회복지사를 채용하는 경우가 적다. 또한 채용 경우에도 사회공헌이나 기업과 연관된 업무 경력자를 우선한다. 따라서 최대한 많은 경험을 쌓을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이에 기업 사회공헌 분야 채용 사례를 엄선해서 공유하고자 한다.

워라밸과 코로나로 침체된 기업 자원봉사, ESG로 심폐소생?

1990년대 후반 기업복지재단 주관의 기업 자원봉사 활동들이 시작되었으며, 2000년대 기업 사회공헌팀의 조직과 더불어 기업 임직원 자원봉사 활동이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인력 구성이 많은 서비스업종 기업들은 엄청난 참여 인원과 시간, 횟수를 지속가능보고서 등을 통해 그리고 언론 홍보를 통해 노출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움직임 속에100% 전직원 봉사 참여를 달성하는 기업들도 많아졌었다. 그러나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으로 휴일 봉사 운영이 어렵게 되면서 기업 자원봉사 활동이 위축되기 시작했다. 이후 코로나로 3년의 시간을 보내면서 간간히 비대면 봉사도 진행되었지만 기업 자원봉사 활동은 거의 유명무실해지는 위기에 처할 수밖에 없었다. 이후 ESG 경영확산에 따른 지역사회공헌 성과의 정량적 데이터가 요구되면서..

CSR 취약 계층 우선, ESG로 환경 관련 후원 확대 불가피

젼경련 주요 기업의 사회적 가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여년간(2004년~2022년) 기업 사회공헌 분야별 지출 비율 순위는 아래와 같이 나타났다. ①취약계층 지원(36.6%) ②교육/학교/학술(20.6%) ③문화예술 및 체육(12.5%) ④기타(재해/창업/지역경제 등)(22.3%) ⑤해외지원(3.0%) ⑥의료보건(3.0%) ⑦환경보전(1.9%) 기업 사회공헌 지출 분야 중 취약계층 지원은 평균 36.6%로 지난 20여년간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2021년에는 55.9%로 역대 최대 규모로 전체 지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었다. 취약계층 지원은 복지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기업들이 전통적으로 가장 많은 사회적 투자를 해 온 영역으로 최근에는 수혜 대상자별 지원 내용이 다양화하고 세분화되어 가..

기업 사회공헌 3조원 기부 시대

1990년대 기업은 복지재단을 만들어 사회복지 분야에 기여하였다. 당시 20여개 복지재단들이 있었으며, 이후 2000년대 초반 기업 사회공헌 부서가 만들어져 활동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기업 윤리경영 측면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으며, 이후 윤리경영, 환경경영, 사회공헌으로 분류되면서 2000년대 중반부터는 사회공헌(CSR)이란 이름으로 기업들의 사회적 책임 이행이 확대되기 시작했다.   ※ 전경련 사회적가치 보고서 톺아보기   전경련 보고서에 따르면 1998년 147개 기업이 조사에 응답하여 3,327억원을 기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0년에는 응답 기업이 확대되어 193개 기업이 7,060억원을 기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부금액이 두배 이상 늘어나기 시작했다. 이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