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사회공헌연구소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Research Institute

반응형

사회복지 64

어린이재단 - 2022년 주요 후원자 및 후원금 현황

1948년 설립된 사회복지법인 어린이재단은 서울 중구 무교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2022년 기준 1,031명이 근무하고 있다. 연인원 17,686명이 자원봉사에 참여하고 있으며, 기본자산은 49,627,478,358원에 달한다. 2022년 기부금 수입 총액은 200,989,872,704원으로 나타났다. ※ 2022년 주요 기부자(개인/기업) 현황 : 1억원 이상 기부자(개인/기업) 기부금(단위:원) 유한회사 나이키코리아 4,958,228,868 (주)한국수력원자력 2,443,142,100 공동모금회-현대차그룹 1,870,605,606 공동모금회_ 김봉진 1,798,921,553 DB손해보험 1,333,000,000 신한라이프빛나는재단 1,260,000,000 공동모금회-삼성생명 1,100,000,000 ..

대한적십자사 - 2022년 주요 후원자 및 후원금 현황

1905년 설립된 대한적십자사는 강원도 원주에 소재하고 있으며, 2022년 기준 4,246명이 근무하고 있다. 연인원 234,895명이 자원봉사로 참여하고 있으며, 기본자산은 211,702,722,024원에 달한다. 2022년 기부금 수입 총액은 179,609,022,199원으로 나타났다. ※ 2022년 주요 기부자(개인/기업) 현황 : 1억원 이상 기부자(개인/기업) 기부금(단위:원) 이윤재 23,157,457,995 (삼성)사회복지공동모금회 4,400,000,000 휠라코리아(주) 1,009,867,424 한국피앤지판매유한회사 973,788,480 (주)씨제이이엔엠 900,000,000 기아(주) 748,350,000 에스케이브로드밴드 주식회사 711,150,000 (주)대구은행 707,700,000..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란?

기업 후원이나 사회공헌 그리고 사회복지 업무를 수행하다 보면 우리는 대상자, 수급자, 클라이언트란 용어를 사용한다. 특히 공공복지서비스 영역에서는 '수급자'란 용어를 대표적으로 사용한다. 수급자란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로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매년 정부에서 정하는 최저생계비 이하인 계층으로서 기초생활보장제도에 따른 생계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해산급여, 장제급여의 혜택을 받을수 있는 수급자를 말한다. 1. 지원대상 ○ 근로능력여부・연령 등에 관계없이 국가의 보장을 필요로 하는 급여종류별 최저보장수준 이하의 모든 가구 ※ (원칙)가구단위 보장, 필요한 경우 개인단위 보장 2. 신청 ○ 신청인 ⦁ 신청권자:수급권자・친족・기타 관계인, 공무원 직권신청(동의 필요) ⦁ 신청장소:읍・면사무소 및 동 주민센터 ○..

사회복지사 경력 인정 기준

사회복지사의 경력 인정은 호봉 및 급여 책정의 기준이 되고 있다. 사회복지시설 이나 사회복지법인 경력은 100% 인정되나 기타 유사한 경력은 80%만 인정되고 있다. 사회복지현장이 이직이 많은 상황에서 본인의 경력이 100% 인정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니 경력관리에 신경써야 할 것이다. 1. 사회복지시설・사회복지법인경력(100%) 가.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한 경력 ➝법령 또는 지침이 신설 또는 개정되어 신규로 사회복지시설로 규정되는 경우, 법령에 규정된 다음연도의 1월 1일부터 근무경력을 인정함 예) 아동공동생활가정의 경우 2004년 1월 29일에 「아동복지법」이 개정되어 사회복지시설로 규정되었으므로, 예산반영이 가능한 2005년 1월 1일부터 근무경력을 인정함 * 사회복지시설:동 지침에서 사회복지시설의..

사회복지사 취업 사회복지 시설 종류

보건복지부 2024 사회복지시설 관리안내 자료에 따르면, 사회복지 시설 또는 사회복지법인 경력은 100%인정되며, 사회복지사업법 및 법 제2조제1호에 열거된 사회복지사업 관련 법률에 따른 사회복지 관련 국가 자격증을 소지하고 법령 등에 정해진 해당 자격의 업무를 수행한 경력은 유사경력으로 80%만 인정되고 있다.

사회복지사가 되는 방법 그리고 취업

사회복지사란 보건복지부장관명의로 발급되는 사회복지사 1급 또는 2급 자격증을 소지하고 사회복지 관련 시설에서 사회복지업무에 종사하는 직업이며, 아동, 노인, 여성, 장애인 등 사회 소외계층을 위해 일한다. 일반적으로 “좋은 일을 한다”고 평가받는 직업이다. 사회복지사가 되기 위해서는 여러 방법이 있어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하겠다. 교육과정, 국가시험, 자격증 발급, 취업, 대학원 진학 순으로 개인적 경험을 토데로 설명드리고자 한다. 사회복지사 1급은 국가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첫 번째로, 사회복지사 자격을 취득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필수과목 이수기준으로 대학과 전문대학에서는 10과목 30학점(과목당 3학점) 이상을 이수해야하며, 대학원에서는 6과목 18학점(과목당 3학점) 이상을 이수하면 된..

사회복지학 전공 교과목 기준

사회복지사업법 시행규칙 제3조제1항 별표 1 [시행일 : 2019. 10. 1.] 에 의거 사회복지학 전공교과목과 사회복지관련 교과목을 명시하고 있으며, 과목별 그리고 전문대학, 대학에 따른 학점을 다르게 규정하고 있음. 또한 160시간 이상의 사회복지 기관 실습을 필수로 규정하고 있음. ■ 필수과목 - 대학ㆍ전문대학 : 10과목 30학점 (과목당 3학점) 이상 - 대학원 : 6과목 18학점(과목당 3학점) 이상 사회복지학개론,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현장실습,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지역사회복지론 ■ 선택과목 - 대학ㆍ전문대학 : 7과목 21학점 (과목당 3학점) 이상 - 대학원 : 2과목 6학점(과목당 3학점) 이..

사회복지사 1급 국가시험 응시자격

사회복지사업법 시행령 제4조제1항 및 별표3에 의거 사회복지사 1급 국가시험 응시자격을 규정하고 있다. 1. 「고등교육법」에 따른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을 전공하고 석사학위 또는 박사학위를 취득한 자 ※ 대학에서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을 전공하지 아니하고 동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는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사회복지학 전공교과목과 사회복지관련 교과목 중 사회복지현장실습을 포함한(2004. 07. 31 이후 입학생부터 해당) 필수과목 6과목 이상(대학에서 이수한 교과목을 포함하되, 대학원에서 4과목 이상을 이수하여야 한다), 선택과목 2과목 이상을 각각 이수하여야 한다. 2. 「고등교육법」에 따른 대학에서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사회복지학 전공교과목과 사회복지관련 교과목을 이수하고 학사학위를 취..

사회복지사 1급 국가시험

사회복지사업법 제11조 제3항에 따라 사회복지사 1급 자격은 국가시험에 합격한 사람에게 부여하고, 정신건강사회복지사ㆍ의료사회복지사ㆍ학교사회복지사의 자격은 1급 사회복지사의 자격이 있는 사람 중에서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수련기관에서 수련을 받은 사람에게 부여한다. ■ 시험시기 : 매년 10월 공고, 1월 시험, 3월 결과 발표 ■ 합격기준 : 사회복지사업법 시행령 제3조제5항에 의거, 매 과목 4할이상, 전 과목 총점의 6할이상을 득점한 자 ■ 응시수수료 : 25,000원 - 전자결제(신용카드, 계좌이체, 가상계좌) 중 택1 / ※ 결제수수료는 공단에서 부담 ■ 주관기관 :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 시험과목 - 사회복지사업법 시행령 제3조제4항에 의거, 시험은 필기시험의 방법에 의하여 실시하며, 그 시험과..

사회복지사 등급별 자격 기준

사회복지사는 1970년대 사회복지사업 종사자로 시작하여 1983년 5월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에 따라 사회사업가 또는 사회복지종사자로 규정되었다 이후 사회복지사로 통일되고 사회복지사 자격증 제도가 신설되어 사회복지사 자격증이 발급되기 시작했다. 사회복지사업법 시행령 [별표 1] 사회복지사의 등급별ㆍ영역별 자격기준(제2조제1항 관련) ※ 사회복지사 1급 법 제11조제3항에 따른 국가시험에 합격한 사람 ※ 사회복지사 2급 가. 「고등교육법」에 따른 대학원에서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을 전공하고 석사학위 또는 박사학위를 취득한 사람. 다만,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이 아닌 분야의 학사학위를 취득하고 사회복지학 또는 사회사업학 석사학위를 취득한 사람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사회복지학 전공교과목과 사회복지 관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