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사회공헌연구소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Research Institute

반응형

사회복지 64

기업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의료사회복지사, 학교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업법 제11조(사회복지사 자격증의 발급 등) 제1항에서) 보건복지부장관은 사회복지에 관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발급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제2항에서는 제1항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등급은 1급ㆍ2급으로 하되, 정신건강ㆍ의료ㆍ학교 영역에 대해서는 영역별로 정신건강사회복지사ㆍ의료사회복지사ㆍ학교사회복지사의 자격을 부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제3항에서는 사회복지사 1급 자격은 국가시험에 합격한 사람에게 부여하고, 정신건강사회복지사ㆍ의료사회복지사ㆍ학교사회복지사의 자격은 1급 사회복지사의 자격이 있는 사람 중에서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수련기관에서 수련을 받은 사람에게 부여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2023년 사회복지시설 평가 결과

1997년 당시 IMF로 인한 경제 위기에 사회적인 변화의 하나로 정부 및 공공기관의 구조조정은 물론이며,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예산이 투입되어야 하는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효율성과 서비스 제공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이 필요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에 따라 1998년 7월 1일, 사회복지사업법 제43조(시설의 평가)가 신설되어 보건복지부장관 및 시ㆍ도지사는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시설을 정기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이를 시설의 감독 또는 지원 등에 반영할 수 있다고 규정되었다. 또한 사회복지사업법 시행규칙 제27조의2(시설의 평가)에서는 3년마다 시설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의 사회복지시설평가 업무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1999년~2004년), 한국사회복..

사회복지사

1983년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으로 사회복지사 제도가 시행된지 올해로 40년이 되는 해이다. 사회복지사 자격증 발급 1백만명이 넘는 시대를 넘어오면서 40여년의 역사속에서 사회복지사 제도의 변화를 조명해볼 필요가 있다. 과거의 시작점에서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 사회복지사들이 미래를 어떻게 만들어가야 할지 함께 고민하고 함께 노력해야 한다. 이에 최근 기호일보에 칼럼을 하나 소개하고자 한다. 사회복지사에게 김진학 한국공공복지연구소 소장 올해는 사회복지사 자격증 제도가 법적으로 시행된 지 40년 되는 해다. 1970년 제정된 사회복지사업법을 1983년 개정해 사회복지사제도로 개선, 1984년부터 현재의 사회복지사 제도를 시행했다. 이 땅에 사회복지사 제도가 만들어지기까지 1952년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창립, 19..

기부금인정단체(법정, 지정, 특례, 일반) 바로 알기

기업 사회공헌은 기부로 이루어 진다. 복지, 문화예술, 의료, 재난 등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기업은 다양한 분야에 기부를 한다. 이에 기부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기부금을 지급하는 단체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중요하다. 기부금영수증처리가 되지 않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이에 기업 사회공헌 담당자에게 도움이 될 기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법인세법 제24조제1항에서 “기부금”이란 내국법인이 사업과 직접적인 관계없이 무상으로 지출하는 금액으로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기부금은 특례기부금과 일반기부금으로 나눈다. 기존의 법정기부금이 특례기부금으로 그리고 지정기부금이 일반기부금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법정기부금의 경우 기부자가 기부할 때 개인은 소득의 100%까지, 법인은 소득의 50%까지 손금산입..

기부금? 후원금?

기업 사회공헌은 기부로 이루어 진다. 복지, 문화예술, 의료, 재난 등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기업은 다양한 분야에 기부를 한다. 이에 기부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기부금을 지급하는 단체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중요하다. 기부금영수증처리가 되지 않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이에 기업 사회공헌 담당자에게 도움이 될 기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기부금이란 민법상으로는 재산의 출손(出損), 즉 무상증여를 의미하며, 사회통념상으로는 타인을 원조할 목적으로 하등의 대가도 바라지 않고 재산을 무상으로 주는 것을 의미한다. 법인이나 개인 자신의 사업과는 직접적인 관련없이 타인의 보조를 위해 무상으로 지급되는 재산적 급부인 것이다. 회계·세무 용어사전에서는 기업의 영업활동과는 직접적으로 관련없이 사회복지,..

전국 사회복지학과(전공) 개설 현황 - 대학원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방법 중 하나로 학부에서 전공하지 않은 경우 대학원에서 사회복지 관련 교과목을 이수하면 사회복지사 자격증 2급을 취득할 수 있다. 이후 사회복지사 국가시험에 합격해야 1급을 취득할 수 있다. 전국 대학 알리미(https://www.academyinfo.go.kr) 에 따르면, 주간 및 야간을 포함하여 전국 180개 대학원에 사회복지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No 학과 대학명 학교 종류 학과 지역 지역 (시군구) 주야 구분 학교 지역 설립 유형 1 사회복지학과 가천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대학원 경기 성남시 야간 경기 사립 2 사회복지학과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대학원 경기 성남시 주간 경기 사립 3 사회복지학과 가톨릭관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대학원 강원 강릉시 야간 강..

전국 사회복지학과(전공) 개설 현황 - 대학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방법 중 하나로 대학에서 사회복지학을 전공하고 관련교과목을 이수하면 사회복지사 자격증 2급을 취득할 수 있다. 이후 사회복지사 국가시험에 합격해야 1급을 취득 할 수 있다. 전국 대학 알리미(https://www.academyinfo.go.kr) 에 따르면, 전국 104개 대학에 사회복지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No 대학명 학교종류 학과지역 학과지역(시군구) 주야구분 학교지역 설립유형 학과특성 1 가천대학교 대학 경기 성남시 주간 경기 사립 일반과정 2 가톨릭대학교 대학 경기 부천시 주간 경기 사립 일반과정 3 강서대학교 대학 서울 강서구 야간 서울 사립 계약학과 4 강서대학교 대학 서울 강서구 주간 서울 사립 일반과정 5 강원대학교(제2캠퍼스) 대학 강원 삼척..

전국 사회복지학과(전공) 개설 현황 - 전문대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방법 중 하나로 전문대학에서 사회복지학을 전공하고 관련교과목을 이수하면 사회복지사 자격증 2급을 취득할 수 있다. 이후 사회복지 관련 기관에서 1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어야 1급 국가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전국 대학 알리미(https://www.academyinfo.go.kr) 에 따르면, 전국 81개 전문대학에 사회복지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No 대학명 학교종류 학과지역 학과지역 (시군구) 주야 구분 설립유형 학과특성 1 가톨릭상지대학교 전문대학 경북 안동시 야간 사립 학사학위전공심화(경력없음) 2 강동대학교 전문대학 충북 음성군 야간 사립 학사학위전공심화(경력없음) 3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전문대학 경기 시흥시 야간 사립 산업체위탁 4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전..

주요 대학 사회복지대학원(석사-야간) 현황 - 4

사회복지사로서 현장에 근무하면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거나 비 전공자가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방법의 하나로 사회복지대학원(야간)을 진하는 경우가 많다. 학부가 설치되어 있는 주요 대학들은 대부분 직장인을 위한 야간 대학원 과정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인의 진학 목적, 근무 분야, 전공분야 등을 고려하고 대학원 교수들의 전공 분야를 고려하여 대학원을 선택해야 한다. ※ 서울지역 주요 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개설 현황(2024년 기준) 학교명 서강대학교 한양대학교 성결대학교 강남대학교 대학원명 공공정책대학원(야간) 공공정책대학원(야간) 사회복지대학원(야간) 융복합대학원(야간) 원서접수 10월 (https://www.jinhakapply.com) 12월 (https://www.jinhakapply.co..

주요 대학 사회복지대학원(석사-야간) 현황 - 3

사회복지사로서 현장에 근무하면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거나 비 전공자가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방법의 하나로 사회복지대학원(야간)을 진하는 경우가 많다. 학부가 설치되어 있는 주요 대학들은 대부분 직장인을 위한 야간 대학원 과정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인의 진학 목적, 근무 분야, 전공분야 등을 고려하고 대학원 교수들의 전공 분야를 고려하여 대학원을 선택해야 한다. ※ 서울지역 주요 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개설 현황(2024년 기준) 학교명 서울시립대학교 가톨릭대학교 명지대학교 대학원명 도시사회복지대학원(야간) 사회복지대학원(야간) 사회복지대학원(야간) 원서접수 10월 (https://www.jinhakapply.com) 12월 (http://uwayapply.com) 11월 (https://www..

반응형